2014년 3월 25일 화요일

English study technique 1

이 내용은 도서 '조승연의 공부기술 실천편 - 영어'(조승연 저)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Subject - Predicate Pair
Subject

Subject 일반적으로 말하는 주어, 문장에서 가장 중심적인 단어. 이 단어를 중심으로 문장의 나머지 부분이 Subject를 설명하는 구조로 이해하면 된다. 다음 4가지 형태가 있다.

Nominative noun - 주어가 명사인경우.

예) I love you. / Car is blue.

Nominative verb - 주어가 동사인 경우. 책에도 설명이 부실... 이라기보다 동사-동사로 문장이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에초에 불가능하고 다음의 infinite와 participle을 설명하기위한 중간다리.
즉 Run is good(달리다는 좋다, 동사-동사)는 문장의 기본구성에 어긋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변형해야한다.

예) To run is good(달리기는 좋다, Nominative infinite) / Running is good(달리는 것은 좋다, Nominative Partiviple)

Nominative infinite - infinite는 무한대라는 의미. 보통 동사는 한정된(finite) 하나의 행동을 나타냄('나는 달린다'는 문장은 대상이 '나'로 한정되어있고 시제도 현재로 한정되어있다). 반면 Infinitive는 대상이나 시간이 한정되어있지 않다. 훈히 to부정사라고 부르는게 이거. to+동사라고 보기보다 그냥 합쳐서 Infinitive form이라는 동사의 한 변형이라고 생각하면 복잡한 문법을 해석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사족으로 라틴어나 불어에는 Infinitive가 한단어로 되어있다고 합니다.

예) To run is good for your health.

예시같이 Infinitive는 동사의 추상적 형태로 명사형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반드시 명사로만 쓰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의. 원서를 많이 읽어서 경험치를 쌓아서 Infinitive가 명사로 쓰이는지 동사로 쓰이는지 구별해낼 수 있는 감을 길러야함. 이렇게 동사가 Infinitive의 형태로 주어로 사용되는 것을 Nominative Infinitive라고 합니다. Nominative Infinitive는 특정한 경우에만 사용되며 원래 동사이기 때문에 형용사, 목적어등이 붙어서 겁나 길어질 수 있음

예) To be King of these rich land of England in these tumulous times is a great responsibility.

이렇기 Subject가 길어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가주어를 앞에 두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 It is a great responsibility to be King of these rich land of England in these tumulous times.

Nominative participle - 동사를 주어로 사용하는 또 다른방법으로 동사+ing형태로 만들어 명사취급 하는 방법. 보통 말하는 동명사.

예) To run is good for your health. (Infinitive)  -> Running is good for your health. (Participle)

Infinitive보다 Participle을 사용하는것이 좋은 두가지 이유
1. ~ing participle은 형용사로도 사용할 수 있고, 명사로도 사용할 수 있다.
2. Infinitive는 동사취급을 해야하지만 Participle은 아예 명사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Predicate

Predicate는 "성질", "성격"의 의미로 '성격을 부여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함. 하지만 단순히 성격만 말하는게 아니라 "근본적인 형태, 형질"를 말하기도 함. 이는 원래 신학에서 사용되던 말.

예) Omnipotence is God's predicate.

예문의 경우 '신이 전능하다.'와 '전능은 신의 근본적인 형태 -> 전지전능 한 것을 가졌기 때문에 신'이라는 두가지 의미가 있음.
문장에서 Predicate는 문장의 형질을 나타내는 부분이라고 할 수있음. 굳이 Predicate라는 명칭을 불러주는 이유는 Subject-Verb Pair보다 Subject-Predicate Pair로 인식할때 다음과 같은 이유로 문장의 근본적인 해석이 용이하기 때문.
1. is나 have같은 경우는 Predicate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2. Predicate은 꼭 동사일 필요가 없고, 명사나 형용사가 사용될 수도 있다.
3. 한 문장에서 동사가 사용되는 경우는 많지만 Predicate은 단 하나뿐이다.

Predicate의 경우 다음 3가지 형태로 나타남.
1) 동사인 경우 - 가장 찾기 쉬운 형태. Subject-Verb Pair의 형태. ~이 ~을 하다.
2) 명사인 경우 - Predicate가 명사인경우를 Predicate Nominative라고 함. 주어와 Predicate Nominative는 연결동사Conjunctive Verb로 연결되어 있는데 Be동사가 연결동사인 경우가 많다. 문법적으로 Subject=Predicate Nominative이다.

예) 나는 남자다. / 나=남자
    I am a man / I = a man

문장이 아무리 복잡해져도 Predicate Nominative와 Subject의 관계는 =임.
3) 형용사인 경우 - Predicate가 형용사인 경우 Predicate Adjective라고 함. Predicate Adjective와 Subject의 관계는 Predicate Adjective가 Subject에게 성격을 부여한다(더한다).

예) I am brave. / I ← Brave


Subject - Predicate Pair
Subject와 Predicate는 항상 서로를 통해서 Subject와 Predicate가 된다. Subject없이는 Predicate가 없고, Predicate 없이는 Subject가 있을 수 없다. Subject는 Predicate가 설명하는 단어이고, Predicate는 Subject를 설명해주는 단어이다.

예) I am your father.
I (Nominative Noun), am (Conjunction Verb), (your) father(Predicate Nominative)
I = (your) father


Concept Check - Subject와 Predicate를 구분하고 각각 Nominative중 어떤것이 사용되었고, Predicate중 어느것(Verb, Predicate Nominative, Predicate Adjective)이 사용되었는지 적고 왜그런지 약술하시오.

1. But the history of mankind does not begin with conscious aim of any kind, as it is the case with the particular circles into which men form themselves of set purpose.
-> But the history of mankind does not begin with conscious aim of any kind 
     the history (of mankind)(Nominative noun), does(Conjunctive Verb), not begin (with conscious aim of any kind)(Predicate(Verb))
-> as it is the case with the particular circles into which men form themselves of set purpose.
     It(Nominative Noun), is(Conjunction verb), the case(with the particular circles into which men form themselves of set purpose)(Predicate Nominative) 
두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문장의 But은 접속사이고 Subject는 'the history'로 명사이기 때문에 Nominative Noun이고, 그것을 설명하는 not begin을 Predicate로 그중에서도 verb로 보았다. 
 ->does는 Conjunctive Verb가 아님. does까지 포함한 does not begin이 Predicate이고 종류는 Predicate Verb임.
두번째 문장은 it이 가주어인줄 알았는데 which가 into의 목적인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it이 앞 문장의 the history를 의미한다고 생각하여 Subject로 명사이기 때문에 Nominative noun으로 보았다. Predicate는 is(Conjunction)뒤의 the case로 보았고, 명사이기 때문에 Predicate Nominative인 것으로 파악했다.
 ->It 은 앞문장의 the history of mankind의 설명이다. 따라서 위 문장의 Subject-Predicate Pair에는 속하지 않는다.

Solution: the history(Nominative noun) - does not begin(Predicate(verb)).
(인류의 역사는, 사람들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만드는 특정한 단체들과 다르게, 시작할때 어떤 목적을 의식하지 않는다.)

2014년 3월 5일 수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