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월 23일 토요일

영어공부 방법론 4) 유튜버 '집영'님의 영어 "귀뚫기"

 수년간의 다양한 영어공부 방법을 공부한 결과(...)를 적은 글이다.

언어는 결국 노출량 곱하기 노출강도이다. 노출량은 시간이라고 볼 수있고 강도는 얼마나 집중하고 임팩트있게 다가와서 기억에 오래 남는가이다. 가장 쉽게 예를 들 수 있는게 초중고교 의무교육기간의 영어노출시간과 노출강도의 곱. 또 영어실수담이 예시가 될 수 있다. 예시를 들 수 있는 영어실수담은 '사실 이렇게 이야기했어야 했는데 잘못 이야기해서 창피를 당했다'는 류이다. 경험의 시간은 짧지만 기억에 남는 높은 노출강도로 당사자 본인은 평생 잊지 못할 것이다.

이런 방법론에 따라서 추천할만한 영어공부법은 다음과 같다. 방법을 보고 나름대로 요약한것이라 실제 방법과는 다를 수 있다.


4) 유튜버 '집영'님의 영어 "귀뚫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NYyQwkJmBNt-xVqQO05dCQ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

영어공부는 안하고 언어학습방법론만 공부하고있습니다. 때문에 제 영어실력은 늘 그 자리 그대로입니다. 딴짓도 하고 뻘짓도 하고 생업도 하느라 4년이 지나서 글을 쓰네요...


이번에 들고온 방법은 귀뚫기 입니다.

평소처럼 할일없이 유튜브를 돌아보다 우연히 발견한 방법론으로 '집영'님께서 소개해주셨습니다. 큰 맥락으로 두가지 방법론으로 구분되며 각각 '흘려듣기'와 '집중듣기'로 구분됩니다.

1 - 흘려듣기

흘려듣기는 무자막으로 영어(또는 원하는 언어)영상을 시청하는 것입니다. 

포인트는 계속해서 많이 듣는 방법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2- 집중듣기

집중듣기는 영어자막이 있는 영상이나 영어로 된 책을 보면서 소리를 듣는 방법입니다.

집영님께서는 집중듣기보다는 흘려듣기에 방점을 두면서 좀더 빠른 학습을 위한 부스트로 집중듣기를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집중듣기위주로 하면 듣기가 아니라 읽기위주의 학습을 하고 듣기 경험이 쌓이지 않아서 발전속도가 더뎌진다고 보는거 같습니다.

3 - 사례



 집영님의 두 자녀분도 집영님의 방법과 같은 방식으로 영어를 공부시키셨고 다른 사교육은 하지 않으셨다고합니다. 물론 귀뚫기로 듣기만 시킨것도 아니고 영어로 된 책도 많이 읽히셨다고는 합니다. 하지만 앞에서 말했듯 일단 듣기로 언어의 기본 베이스를 만들고 읽기로 넘어가는 방법론 자체는 동일하게 하신것 같습니다.

4 - 소개하는 이유.

이전 글에서 말했듯 제가 강조하는 언어습득의 기본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노출량 X 노출강도 = 언어습득

집영님이 소개해주신 귀뚫기 방식은 언어의 노출강도보다 노출량의 절대량을 늘려서 언어를 학습하는 방법입니다. 이전의 한영민 어학원의 방식이나 게싱게임은 노출량보다는 노출강도를 높이려는 방법이고 때문에 깊은 집중을 요구합니다. 단기간에 언어능력의 향상해야만 하는 이유(시험 등)가 있거나 언어습득에만 집중할 여유가 있는 분들에게는 권장할 만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그런 상황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2016년 영어공부 방법론을 처음 쓰던 때 저는 백수였습니다. 영어공부에만 온전히 시간을 쏟을 시간과 능력이 있었죠. (물론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직장에 다니고 운동도하고 하면서 한곳에 몰두할 수 만은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책과 책의 오디오북으로 학습하는 마호칸다식 영어학습법에 들이는 노력도 쉽다고는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그냥 잘 듣기만 하는 귀뚫기 방식은 제 마음을 움직이고 다시 글을 쓰게 만들정도로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그저 방법론으로만 움직인것이 아니라 집영님 본인과 그분의 자녀분들의 성과가 있었기 때문에 소개하려고 마음먹었습니다. 

 시험이 있다거나 단기간에 실력을 향상시켜야하는 미션이 없이 그저 영어를 잘하고 싶다는 막연한 목표를 가지고 서두르지 않고 몇 년간 장기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면 나쁘지 않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콩나무시루에 물 붓듯 효과가 있는가 싶겠지만 나중에 뒤돌아보면 성장한 자신의 언어능력을 보게 될 수 있을거라고 믿습니다. 물론 아닐수도 있지만.. 그래도 재미있는 영상 봤잖아요?


다음에 또 괜찮은 소재가 있으면 글 쓰도록 하겠습니다.


2016년 1월 5일 화요일

영어공부 방법론 3) The Guessing Game 게싱게임

수년간의 다양한 영어공부 방법을 공부한 결과(...)를 적은 글이다.

언어는 결국 노출량 곱하기 노출강도이다. 노출량은 시간이라고 볼 수있고 강도는 얼마나 집중하고 임팩트있게 다가와서 기억에 오래 남는지이다. 가장 쉽게 예를 들 수 있는게 초중고교 의무교육기간의 영어노출시간과 노출강도의 곱. 또 영어실수담이 예시가 될 수 있다. 예시를 들 수 있는 영어실수담은 '사실 이렇게 이야기했어야 했는데 잘못 이야기해서 창피를 당했다'는 류이다. 경험의 시간은 짧지만 기억에 남는 높은 노출강도로 당사자 본인은 평생 잊지 못할 것이다.

이런 방법론에 따라서 추천할만한 영어공부법은 다음과 같다. 방법을 보고 나름대로 요약한것이라 실제 방법과는 다를 수 있다.

3) The Guessing Game (드라마, 영화로 공부하기)
http://www.yes24.com/24/viewer/preview11st/2381089

 게싱게임은 인터넷 한 커뮤니티에서 추천받은 책중 하나이다. 미국드라마와 영화로 영어를 공부하는 방법을 소개한 책으로 책을 통한 고리타분한 방법을 탈피하고 보다 재미있는 재미있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로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 책은 저자부부가 실제로 겪은 일들을 에피소드 형식으로 모아서 가볍게 읽기 좋게끔 만들어져있다. 영어만 다루는 것은 아니고 중국어도 책에서 소개하는 방식으로 습득을 했다고 쓰여있다. 이 책은 영어와 중국어를 배워야하는 이유(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영어와 중국어때문에 곤혹을 겪은 두사람의 이야기와 그토록 오래 영어를 배웠으나 영어로 말하지 못하는 이유, 그리고 가장 중요한 그들이 언어를 습득한 방식로 구성되어있다. 이 글에서는 가장 중요한 부분만 발췌해 다룰것이다. 그러나 책 전체를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재미도 있고 책 전체를 읽어야 그들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보다 강렬하게 다가올 것이라 생각한다.

 일단 저자가 중요하게 여기는것은 언어감각이다. 저자가 말하는 '언어감각'이란 말의 규칙과 소리의 패턴을 알아차리는 감각이다. 학생들을 보다보면 문장의 단어의 뜻을 대부분 알고있는데 문장을 이해하지 못한다거나 청해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경우가 '언어감각' - 규칙이나 소리패턴을 알아차리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다만 단순히 듣고 읽을수 있는 정도를 넘어서서 '아~ 이런뜻이구나!' 또는 '아! 이렇게 말하면 되는구나'하는 경험이 쌓이면서 발달하는 말한다.
 '언어감각'의 발달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책에서는 다음과 같이 쓰여있다.
 "영어에 노출되는 만큼 어휘와 표현도 풍부해졌다." - 책 102쪽
 지난글 방법론 2) 마호칸타 공부법이 연상되는 부분이다. 기본적으로는 다노출이다. 그러나 이 책은 무작정 듣기만 하기보다 좀더 다듬어진 방식으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애썼다. 그것이 바로 The Guessing Game게싱게임이다.

 이 책에서 '아이들은 하는데 어른들은 안하는 것'이라는 소제목으로 나와있는 부분이다. 어른들이 아이들보다 오히려 언어를 학습하는데 더 적합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아이들은 어른들보다 언어습득이 빠를까?'라는 의문에 대한 저자의 대답으로 아이들이 비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Guessing추측.
     아이들은 Input을 받아먹기만 하는게 아니라 능동적으로 추측하면서 먹은 것을 소화하려한다.  아이들은 이를 무의식중에 게임처럼 하는것이 언어학습의 핵심이다.Guessing Game은 처음 들어보는 말의 뜻을 '유추'하는 게임이다.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아이들은 물어보지도 못하고 상황, 표정, 몸짓 등의 주변단서를 이용해 뜻을 추측해가며 학습한다.

 2. Why를 묻지않고 What에 집중한다.
     왜 to swim이 아니라 swimming인지 고민하지 않는다. 아이들에겐 문법상 규칙보다 생소한 말이 무슨 뜻인지가 더 중요할 뿐이다.

 3. 자신의 능력을 의심하지 않는다.
     아이들은 말을 처음 배울때 망설이지 않는다. '잘못하면 어쩌지?', '이런식으로 언제 말을 배우지'같은 의심이나 '난 해도 안되나보다'같은 부정적인 생각은 언어습득에 방해만 된다. 언어를 빨리 배우고 싶다면 자신의 뇌를 신뢰해야 한다.

 이러한 원칙하에 Guessing Game을 진행하면 자연스럽게 언어감각이 길러지고 길러진 언어감각을 통해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는 것이 저자가 주장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하지만 이러한 추상적인 방법론만으로는 감이 잡히지 않는 분들이 많을 것이기 때문에 책에는 좀더 구체적인 '추천 드라마, 영화'와 이를 단계적으로 실천해 갈 수 있는 '권장 스케줄'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분은 책을 직접 구매하여 읽어보시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다만 The Guessing Game역시 단기간이 아니라 1년이상의 장기적인 플랜이기 때문에 단기간에 시험의 결과를 내고자하는 분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도 시험이 아니라 언어의 본질에 가까운 학습을 하자는 것이기 때문에 시험을 앞둔 사람들에겐 적합하지 않다. 게싱게임 뿐 아니라 다른 학습법도 1년이상의 장기적인 계획으로 가는것을 기본으로 하고있다. 이런 부분을 이해하고 조급하지않고 천천히 꾸준히 하는것이 중요할 것이다.


 상업적으로 출판되어 저작권이 있는 서적을 발췌 정리하는것은 심리적인 부담이 상당하다. 이미 출판된지 10년 가까이 된 서적이지만, 매우 유용하고 이런 공부법정리를 하게되는데 영감을 준 책중 하니이다. 영어를 더 친근하게 접근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책이다. 따라서 구매하여 읽어보시는것을 추천해드린다.

2015년 11월 27일 금요일

영어공부 방법론 2) 마호칸타 공부법 (다독 다노출 학습법)

수년간의 다양한 영어공부 방법을 공부한 결과(...)를 적은 글이다.

언어는 결국 노출량 곱하기 노출강도이다. 노출량은 시간이라고 볼 수있고 강도는 얼마나 집중하고 임팩트있게 다가와서 기억에 오래 남는지이다. 가장 쉽게 예를 들 수 있는게 초중고교 의무교육기간의 영어노출시간과 노출강도의 곱. 또 영어실수담이 예시가 될 수 있다. 예시를 들 수 있는 영어실수담은 '사실 이렇게 이야기했어야 했는데 잘못 이야기해서 창피를 당했다'는 류이다. 경험의 시간은 짧지만 기억에 남는 높은 노출강도로 당사자 본인은 평생 잊지 못할 것이다.

이런 방법론에 따라서 추천할만한 영어공부법은 다음과 같다. 방법을 보고 나름대로 요약한것이라 실제 방법과는 다를 수 있다.

2) 마호칸타 공부법 (다독 다노출 학습법)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English&no=228543

 DC영어겔러리에 출몰했던 닉네임 마호칸타님의 학습법을 정리한 것이다.
다독 다노출 학습법이라고도 하는데, 제가 말머리(윗부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노출多露出'을 기본으로 하되 그 주된 방법이 '다독多讀'이라 다독 다노출이라고 붙인것 같음. 그냥 다노출이라고 말함.

 마호칸타님 본인말에 따르면 문법은 거의 아는게 없고 단어고 마찬가지인 일자무식인 상황에서 이 방식을 꾸준히 수행했다고 함. 6달간 6권을 돌리고 '어느날 갑자기' 그날 읽은 부분이 쑥 들어오는 경험을 했고 몇주 지나자 한 챕터의 내용이 이해가 되었다고... 그 후 각 단락의 내용을 알게 되었고, 10개월에서 1년정도 지나자 각 문장의 의미와 세부적인 내용까지 이해가 되는 경헙을 했다고 함.

 구체적인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1. 무작정 한 문장을 세번 듣고 한번 따라한다.
2. 다음 문장을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다.
3. 반복한다.
4. ?
5. PROFIT!

 마호칸타 본인은 해석은 커녕 단어도 모르니 번역을 할래야 할수가 없었고, 할 수 있었더라도 위 방식을 진행하려면 번역할 짬이 안났을거라고 했음. 오히려 번역역하려는 나쁜습관이 안들었기 때문에 개이득이었다고(...)

 대략 100~120 페이지 내외의 페이퍼백(소프트커버)책을 잘게 나눠서 토, 일요일은 쉬고 주5일을 지속적으로 반복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몇달을 해도 효과가 없어서 의구심을 가졌으나 주위에선 효과를 본 사람들이 꽤 있었기 때문에 그냥 믿고 꾸준히 했다고 함. 그리고 결국 본인도 효과를 봤고.

 모르는 단어는 가볍게 건너뛰었고 중요한 단어는 앞뒤 문맥으로 유추할 수 있거나 뒤에 또 나오고, 다른책에서도 나왔고, 다시 안나오는 단어는 별로 안중요한 단어, 몰라도 지장없는 단어라고 함(존쿨ㅋㅋ).

 
△ 마호칸타가 처음 6개월간 읽었다는 책들.

 처음 읽었던 책들중 Oxford book worms시리즈는 개인적으로도 추천할만 하다고 생각한다. 단계별로 나뉘어 적합한 수준을 찾기가 편리하고 스토리의 퀄리티도 동화보다는 나은(...)수준이라 어른들도 읽을만 하다고 생각한다. CD가 포함된 버전은 듣기도 가능하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Oxford book worms같은 얇은 책은 한달에 두세권씩 땠고, 모두 오디오북을 가지고있어서 문장을 보면서 귀로는 듣고 따라말하는걸 수행했다고함.

 6개월 넘어서는 어느정도 내용이 눈에 들어오고 소통도 되서 날림으로 대충하고 쉬는날도 많아졌다고 하는데, 매우 후회한다고함. 그렇게 빈도가 낮아지다 결국 2~3년을 접어두고 쉬다가 다시 시작했다고 함. 다행히 다노출방식으로 '습관화', '체화'시킨것이라 '암기', '학습'했던것과 달리 쉽게 사라지지는 않더라는 이야기를 했음. '자전거'나 '수영'과 같이 몇년 지나도 몸에 남아있는 느낌이라고 표현했음.

 이후에는 Oxford book worms같은 얇은책부터 헤리포터 시리즈나 일반서적도 읽기 시작했고, 영화나 시트콤 같은 영상물을 자막없이 보는것도 많이 했는데, 이때 대사를 듣고 멈춘 후 따라하는 위 책읽기와 같은 방식을 상대적으로 소홀히했고 이를 후회한다고 함. 다시 다독과 함께 병행할것이라고 다짐함.

 오랜만에 마호칸타 글을 다시 읽고 정리하면서 놀란게 스티븐 크라센Stephen D, Krashen의 언급이 나왔는데 최근 본 강연 해설(본 글 쓰는놈은 허접이라 그냥 보진 못함(...))을 보고 소개하려고 했던 분이심. 이쪽 분야로는 대단히 유명하신 분인듯.
 아무튼 스티븐 크라센이 강조한것 처럼 공부하고 생각하지 않고 즐겁고 재미있게 읽고 많이 노출하는게 중요하다함. 어차피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는다고. 스티븐 크라센 관련해서는 다음 글로 쓰겠음.

 또한 학습 초반 따라읽기를 하면서 그날 읽은 내용과 봤던 영상을 영어로 간단하게 정리하고 첨삭받는 그런것(...)도 했었는데, 처음에는 고작 서너줄이 고작이었지만 다노출을 꾸준히 하면서 공책 반페이지, 한페이지를 체울 수 있게 되었고 지적받던 오류도 점차 줄기 시작했다고.

 가장 중요한 학습을 위한 기간은 30분이나 한시간은 너무 적도 두시간정도가 너무 길지도않은 적당한 시간이라고 하며 이를 1년 반에서 2년정도는 꾸준히 지속하는게 좋을것 같다고함. 결국 가장 힘든건 꾸준함이라고함.

 위 주소의 본글에 가보면 더 자세한 내용이나 다른 좋은 참고글, 참고서적,  덧글로 달린 답변들이 있으니 직접 들어가서 읽어보는것이 좋을것이다.


 한줄로 요약하자면, 다노출! 다독만 하는게 아니라 많이 보고, 많이 듣고, 많이 노출하는게 중요!!
1. 다독을 중심으로 한다.
 - 다독이라고는 하지만 오디오북을 듣고 따라하는게 중심이기 때문에 사실상 다청多聽.
2. 이것만 하는게 아니라 조금씩 쓰기도 연습.
3. 영상물이나 오디오북도 추천. 자막이 없는게 좋고 마찬가지로 따라 말하기가 중요.
4. 공부라고 생각하지말고 과정을 즐기고 재미있게 해야한다.
5. 꾸준히 해야한다. 하루에 2시간정도 2년정도를 꾸준히 하지 않는다면 결과는 매우 미약할것.